티스토리 뷰
근로기준법 기준이 되는 사업장 규모. 운영 또는 재직 중인 회사가 5인 미만인지, 이상인지 애매하셨나요? 상시근로자 수는 단순히 회사에 등록된 직원의 수가 아닙니다. 상시근로자의 뜻, 계산 방법, 상시 근로자 5인 기준으로 나뉘는 근로기준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시근로자 수란 무엇인지, 상시근로자 수는 어떻게 산정 하는지, 예외규정 및 5인 기준으로 나뉘는 근로기준법에 대해 자세히 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 주시고 요약된 내용만 빠르게 확인하시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상시근로자 수 계산 (주52시간 근로기준법, 5인 미만 vs 이상 사업장 확인)
혹시 등록된 직원이 5명 이기 때문에 5인 이상 사업장이라고 생각하시지 않으셨나요? 안타깝게도 그렇게 단순하게 계산되지 않습니다. 정부 사업이나 근로기준법 기준에 늘 등장하는 상시근로
icehongccc.tistory.com
상시근로자 수 요약 정리
상시근로자 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근로기준법에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해당 사업/사업장에서 법 적용 사유 전 한 달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 동일 기간 중의 가동일 수로 나누어 산정한다." 즉, 1개월 동안 회사에서 고용한 근로자가 출근한 일수를 모두 더하고, 그 값을 1개월 동안 사업체가 운영된 일수로 나누면 상시근로자 수를 계산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상시근로자 수 = 연인원 수 ÷ 가동일 수
계산 예시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버튼을 참고해주세요.
상시근로자 수에는 일용직, 아르바이트생, 임시직 등의 근로자도 포함되지만, 대표나 회사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은 파견근로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Human Resour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 지급 조건 및 계산 방법 (폐지 시기, 5인 미만, 프리랜서) (0) | 2023.06.08 |
---|---|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형사처벌, 전과 기록 (작성 시기, 방법, 양식) (0) | 2023.06.06 |
포괄임금제: 장단점 및 문제점 (52시간 초과 등 악용으로 폐지) (0) | 2023.06.05 |
초과 근로수당: 야간, 휴일, 연장 근로수당 등 가산수당 계산 방법 (0) | 2023.06.02 |
5인 미만 사업장: 적용되지 않는 근로기준법 (연차, 주휴수당 등 정리) (0) | 2023.05.31 |